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성희롱예방

성희롱 사건에서 성적 의도가 없었으며, 친밀감에 기초한 행위였다는 항변에 대한 법원의 판단 1. “성적 의도가 없었다”는 말로는 충분하지 않다직장 내 성희롱 사건에서 가장 자주 등장하는 항변이 있습니다.“성적인 의도는 없었습니다.”“서로 친해서 장난처럼 한 행동이었습니다.” 그러나 최근 법원은 이러한 항변을 더 이상 받아들이지 않고 있습니다.아래에 소개할 판결은 바로 그 대표적 사례입니다. 이 사건의 피고는 한국농어촌공사, 원고는 그 소속 센터장, 피해자는 센터의 여직원이었습니다.원고는 피해자에 대해 성희롱 행위를 하여 한국농어촌공사로부터 징계처분을 받자 이를 법원에서 다툰 사건입니다. 문제가 된 행위는 다음과 같습니다.피해자의 다리 근육이 생겼나 보자며 종아리를 만진 행위피해자의 어깨를 주무른 행위몸무게를 확인한다며 피해자의 몸을 들어 올리는 행위원고는 이를 두고 “성적 의도 없이 도와주려는.. 더보기
성희롱은 성적 의도가 없어도 성립한다? ─ 대법원 판결로 본 성희롱 성립 요건 1. “의도는 없었다”는 항변, 법은 어떻게 볼까?직장 내 성희롱 징계 사건에서 가해자들이 가장 흔히 내세우는 항변이 있습니다.“그럴 의도가 아니었다”, “단지 농담이었을 뿐이다”라는 말이지요. 하지만 과연 성적 의도가 없었다면 성희롱이 아니라고 할 수 있을까요? 대법원은 이에 대해 명확한 기준을 제시했습니다.성희롱은 행위자의 ‘성적 의도’가 아니라, 피해자가 느낀 ‘성적 굴욕감이나 혐오감’이 핵심 기준이라는 것입니다. 즉, 아무리 ‘농담’이나 ‘호의’라고 주장하더라도,그 행위가 객관적으로 상대방에게 성적 불쾌감이나 굴욕감을 줄 수 있다면 성희롱이 성립할 수 있습니다. 2. 성희롱의 법적 개념 ─ 양성평등기본법의 정의성희롱의 법적 근거는 「양성평등기본법」입니다. 여기서 성희롱의 기본적인 정의규정을 두고 .. 더보기
성희롱의 법적 근거와 유형별 사례는? 직장 내에서나 일상에서 우리는 다양한 사람들과 관계를 맺고 소통합니다. 하지만 이러한 관계 속에서 무심코 하는 말이나 행동이 상대방에게 불쾌감을 줄 수 있으며, 때로는 법적으로 문제가 될 수도 있습니다. 성희롱은 단순한 예의범절의 문제가 아니라 법적으로 금지된 행위이며, 피해자는 심각한 정신적·신체적 고통을 겪을 수 있습니다. 우리나라에서는 양성평등기본법, 남녀고용평등법, 국가인권위원회법 등을 통해 성희롱을 명확히 정의하고 있으며, 이에 대한 처벌과 예방 조치를 규정하고 있습니다. 그렇다면 성희롱이란 무엇이며, 법적 근거와 유형별 사례는 어떤 것들이 있을까요? 이 글에서는 성희롱의 개념과 법적 근거를 살펴보고, 유형별 사례를 통해 구체적인 이해를 돕고자 합니다. 성희롱의 개념과 법적 근거성희롱은 양성평등.. 더보기
성희롱 상황에서 주변인의 역할: 성희롱 예방과 개입 방법 성희롱이나 성폭력 상황을 목격했을 때, 대부분의 사람은 어떻게 대처해야 할지 고민하거나 그저 방관하게 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러나 성희롱 상황에서 주변인의 개입은 피해자를 보호하고 건강한 조직문화를 만드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오늘은 성희롱 상황에서 주변인이 할 수 있는 역할과 구체적인 개입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목차주변인의 개념과 중요성주변인이 성희롱을 막는 데 기여하는 방법성희롱 상황에서 주변인이 실천할 수 있는 구체적 역할맺음말: 건강한 조직문화를 위해 모두가 알아야 할 태도 1. 주변인의 개념과 중요성주변인이란 단순히 성희롱 상황에 존재하는 사람을 넘어, 이를 목격하고 개입할 기회를 가진 제3자를 의미합니다. 성희롱이나 성폭력 상황에서 주변인이 중요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피해자는 위협을 .. 더보기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