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악의_고지 썸네일형 리스트형 군대에서의 진술서 강요: 지휘권의 한계와 법적 책임 군대라는 조직에서 지휘관의 명령은 절대적일까요? 부하의 잘못을 바로잡기 위해 지휘관이 진술서를 작성하게 하고, 더 나아가 자신의 의견을 추가한 뒤 서명을 강요했다면, 이는 정당한 권한 행사로 봐야 할까요? 아니면 법적 문제를 초래할 수 있는 행위일까요? 이번 글에서는 군대 내 상관과 부하의 관계에서 정당한 명령의 범위를 어디까지 인정할 수 있는지, 그리고 강요죄가 성립하는 기준을 실제 사례를 토대로 심층적으로 살펴보겠습니다. 사실관계A는 대대장이고 B는 그의 부하 장교였습니다. A는 평소 B가 장교로서의 자질이 부족하다고 평가하고 있었습니다. 어느 날 B가 당직근무를 서면서 탄수불을 직접 하지 않았으면서 직접 한 것처럼 보고하자, A는 B를 질책하면서 "너는 맨날 거짓말한 한다."라고 말하면서 탄수불을.. 더보기 "제게 한 만큼 갚아드리겠습니다"라는 메시지에 대한 법적 평가 "말 한마디가 천 냥 빚을 갚는다"는 속담이 있습니다. 그러나 그 말 한마디가 법적 책임 공방으로 이어질 수도 있지요. 특히, 문자 메시지 하나로 "보복협박죄"가 성립될 수 있다는 주장이 제기된다면, 어떻게 될까요? 최근 대법원은 문자 메시지를 통한 보복협박 혐의로 기소된 사립대 교수의 사건에서 흥미로운 판단을 내놓았습니다. 과연 이 사건은 어떤 법적 쟁점을 담고 있었으며, 판결의 의미는 무엇일까요? 사실관계사립대 교수로 근무하던 A 씨는 피해자 B 씨의 소개로 같은 대학 강사를 거쳐 교수로 재직하게 되었습니다. 이후 A 씨와 B 씨는 부동산 투자 문제로 얽히게 되었고, B 씨는 A 씨가 사기로 편취한 금액의 일부를 가져갔다며 엄벌해 달라는 탄원서를 수사기관에 제출하였습니다. 이로 인해 A 씨는 사기 .. 더보기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