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군대성폭력

군내 2차 피해 유발 행위에 대한 처벌 "그냥 조용히 넘어가는 게 낫지 않겠어?""이걸로 부대 분위기 망치는 거 아니야?""너무 예민한 거 아니야?" 군대 내 성희롱·성폭력 사건이 발생하면, 피해자는 단순히 가해자의 행위로만 고통받는 것이 아닙니다. 신고를 한 뒤에도 주변의 부정적인 시선, 회유, 따돌림, 불이익 등의 '2차 피해'가 따라오기 때문입니다. 특히 군 조직은 계급 체계와 폐쇄적인 환경으로 인해 피해자 보호가 어려운 구조를 가지고 있습니다. 많은 피해자가 사건을 신고한 후 오히려 가해자가 아닌 피해자가 떠나야 하는 상황에 직면합니다. 신고자에 대한 색출, 압박, 험담, 불이익 조치 등 다양한 형태로 2차 피해가 발생하며, 이는 피해자뿐만 아니라 신고자, 증인, 조력자에게까지 확산됩니다. 그러나 2차 피해는 단순한 윤리적 문제가 아닙.. 더보기
군내 2차 피해의 유형별 사례: 어떤 행위들이 2차 피해를 유발하는가? "네가 너무 예민하게 구는 거 아니야?""원래 군대는 그런 곳이야.""다 끝난 일인데, 조용히 좀 넘어가자." 성희롱·성폭력 피해를 신고한 군인들이 가장 많이 듣는 말들입니다. 신고를 했다는 이유만으로 피해자는 오히려 조직 내에서 따돌림을 당하거나, 가해자가 아닌 피해자가 전출을 가야 하는 상황이 벌어지기도 합니다. 상관은 화해를 종용하고, 동료들은 불편한 시선을 보냅니다. 더 나아가 피해자가 소속 부대에서 ‘문제 인물’로 낙인찍히고 불이익을 받는 일도 적지 않습니다. 이처럼 성희롱·성폭력 사건의 본질이 아닌, 피해자의 대응 방식과 태도가 비난받는 현상을 2차 피해라고 합니다. 군대처럼 폐쇄적이고 계급 문화가 뿌리 깊은 조직에서는 특히 이런 2차 피해가 심각하게 나타날 수 있으며, 2차 피해에 대한 우려.. 더보기
2차 피해의 개념과 법적 근거: 2차 피해란 무엇인가? 2021년 대한민국 공군에서 한 비극적인 사건이 발생했습니다. 공군 제20전투비행단 소속 故 이예람 중사는 선임에게 성추행을 당한 뒤 신고했지만, 사건이 끝나기는커녕 더 큰 고통이 시작되었습니다. 상관과 동료들은 그녀에게 합의를 종용하고, 사건을 무마하려는 압박을 가했습니다. 가해자는 보호받았고, 피해자는 고립되었으며, 결국 이 중사는 극단적인 선택을 하고 말았습니다. 이예람 중사의 죽음 이후 군대 내 성범죄의 2차 피해에 대한 논의가 활발해졌지만, 폐쇄적 환경에서 단체생활을 하는 군대의 현실에 비추어 2차 피해의 발생 가능성은 여전히 높습니다. 군대라는 특수한 환경에서 성폭력 피해자는 가해자뿐만 아니라 조직 전체로부터 외면받거나 불이익을 겪을 수 있는 것이죠. "부대 분위기를 해친다", "조용히 넘어가.. 더보기

반응형